루닛 스코프 기반 일본 국립암센터 연구 포함…정밀의학 필수 도구 입지 강화

루닛(대표 서범석)은 5월 30일부터 6월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5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5)에서 총 12편의 연구 초록을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올해 학회에 참가하는 전 세계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다.
발표되는 연구는 루닛의 AI 기반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해 암 진단 및 치료 반응 예측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루닛은 일본 최고 암 전문 병원인 일본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er Hospital East, NCCE)와 공동 진행한 2건의 연구도 공개할 예정이다.
첫 번째 연구는 HER2 양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제품명 엔허투)'의 치료 반응을 루닛 스코프를 통해 예측한 결과를 담고 있다. 두 번째 연구는 대규모 전향적 임상시험에 등록된 폐암 환자의 PD-L1 발현 정도를 병리과 전문의와 루닛 스코프가 각각 평가한 내용을 비교 분석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양학 분야에서 AI 기반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포함됐다. 위암에서 신규 치료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클라우딘18.2(CLDN18.2)의 발현을 H&E 병리 영상으로 예측한 연구, 항체-약물접합체(ADC)의 타깃 단백질 발현을 면역조직화학(IHC) 이미지에서 정량화한 연구, 내피세포 구조 분석을 통해 종양 혈관의 특성과 면역요법 반응성을 예측한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서범석 대표는 "올해 ASCO에서 일본 국립암센터와의 협업 연구 다수가 채택되며 루닛 스코프의 과학적 신뢰도를 한층 높였다"며 "면역항암제 치료결정 과정에서 루닛 스코프가 필수적인 AI 바이오마커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임상종양학회(ASCO)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종양 학회 중 하나로, 매년 4만 명 이상의 의료 전문가가 참석한다. 루닛은 2019년부터 매년 ASCO에 참가해 AI 기반 암 진단·치료 바이오마커의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토토 바카라
- 루닛, AACR 2025서 희귀암·치료내성 AI 분석 성과 발표
- 루닛, GC녹십자아이메드에 AI 암 진단 솔루션 공급
- 루닛 "AI, 의료진보다 정확… 협업 시 유방암 조기진단 효과 입증"
- 루닛, AACR 2025서 'AI 기반 폐암 예측 솔루션' 발표
- AACR 2025, 항암제 시장 공략하는 K-바이오
- 면역항암제에서 AI 진단까지… 국내 기업들 '가자, ASCO'
- 루닛, 독일 스타비전에 AI 암 진단 솔루션 공급 계약 체결
- 온코닉테라퓨틱스, ASCO서 췌장암·자궁내막암 임상연구 2건 발표
- Korean Biotech Head Into the Spotlight at 먹튀없는 바카라사이트
- 루닛, 루닛 인사이트·스코프 동시 성장으로 1분기 매출 192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