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원형탈모 환자 대상, 3상 'UP-AA' 2번 연구 결과 발표
린버크 15, 30mg 치료군서 각 44.6%, 54.3% …위약군 6% 불과

애브비가 개발한 JAK 억제제 '린버크(성분 유파다시티닙)'의 3상 임상시험에서 '투여 24주차 시점 두피 80% 이상에서 모발이 자란 환자 비율'이 최대 5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애브비는 린버크 투여(린버크 15m 및 30mg) 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 3상 UP-AA 임상 프로그램의 2가지 주요 연구 중 2번 연구의 긍정적인 주요 결과가 지난 7월 30일(현지시각) 미국에서 발표됐다고 1일 밝혔다.

탈모증 중증도 평가 도구(SALT) 평균 평균 점수가 83.8인 중증의 성인과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린버크는 2가지 용량 투여군 모두에서 1차 유효성평가변수를 달성했다. 24주차에 두피의 80% 이상(SALT≤20)에서 모발이 자란 환자의 비율이 각각 44.6%, 54.3%였고, 위약 대조군에서는 3.4% 였다(p<0.001).

또, 린버크 15mg과 30mg 치료군에서 각각 36.0%, 47.1%의 비율의 환자가 24주 차에 두피의 90%이상(SALT≤10)에서 모발이 자란 것에 대비해 위약군의 달성 비율은 1.4%였다(p<0001). 같은 시기 눈썹과 속눈썹 개선 및 두피 전체(SALT=0)에서 모발이 자란 환자 비율 등 주요 2차 유효성평가변수 모두 린버크 2개 용량군에서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여 이후 발생한 이상사례(TEAE)로 치료를 중단한 비율은 린버크 15mg 및 30mg 군에서 각각 0.7% 와 1.4% 였고, 위약군에서는 사례가 없었다. 관찰된 가장 흔한 투여 이후 발생한 이상사례는 여드름, 비인두염 및 상기도 감염 등이었으며, 독립 판정된 주요 심혈관계 사건(MACE), 악성 종양 또는 사망은 보고되지 않았다. 다만, 린버크 15 mg군에서 독립 판정된 정맥혈전색전증이 1건 발생했다.

아라쉬 모스타히미(Arash Mostaghimi) 하버드 의대 브리검 앤드 위민스 병원(Brigham & Women's Hospital) 교수는 "원형탈모 환자가 겪는 갑작스럽고 종종 예측불가능한 탈모는 환자들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며 "두피와 두피 이외 부위의 모발 재생을 돕는 더 많은 치료법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린버크가 보여준 이번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히트바카라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