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개 프로젝트 종료…"상부호흡기 감염 대응 효과 부족"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산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을 통해 진행해온 mRNA 백신 개발 지원을 전면 종료한다고 지난 5일(현지시각) 발표했다. 해당 조치는 로버트 F. 케네디 Jr. 장관의 취임 이후 본격화된 mRNA 및 백신 전반에 대한 부정적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총 22개 프로젝트(약 5억달러 규모)가 종료 대상에 포함됐다. 향후 BARDA는 신규 mRNA 기반 프로젝트도 시작하지 않을 예정이다.

HHS는 보도자료를 통해 "과학적 근거를 검토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결과 mRNA 백신이 코로나19나 독감과 같은 상부호흡기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데이터를 확인했다"며 "변이에 강하고 안전성이 높은 백신 플랫폼으로 투자를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외신을 살펴보면 이번 조치로 모더나의 조류독감 백신 계약은 공식 종료됐다. 모더나는 이미 지난 5월 HHS의 예산 삭감으로 해당 프로젝트 중단을 예고한 바 있으며 현재 BARDA와 신규 협업은 없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에모리대학교, 티바바이오텍과 계약이 종료되며, 루미너리랩스, 모덱스, 세퀴러스 등과 체결됐던 계약 규모도 축소된다.

또 화이자, 사노피 등 다수 기업의 mRNA 기반 제안은 거절됐고, 아스트라제네카가 미 국방부와 진행 중인 핵산 백신 협력도 재구조화되며 HHS의 재정 참여는 중단된다. BARDA의 투자 펀드를 운용하는 글로벌헬스인베스트먼트공사는 모든 mRNA 관련 지분투자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HHS 측은 향후 "전체 바이러스를 이용한 백신이나 새로운 백신 플랫폼"에 예산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5월 발표된 'Generation Gold Standard' 프로그램이 차세대 백신 플랫폼으로 검토되고 있다.

HHS 대변인은 "mRNA 기술의 장기 안전성과 효과는 아직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며 "mRNA 언급을 자제하라는 지침이 국립보건원(NIH) 내부 과제 제안서에도 내려간 상태”라고 덧붙였다.

RNA 치료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으로 미국의 바이오 혁신 경쟁력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존스홉킨스대 제프 콜러 교수는 "mRNA 기술은 명확한 과학적 근거와 안전성을 바탕으로 하는 의약 플랫폼"이라며 "이러한 결정은 미국의 기술 주도권을 타국에 넘기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로버트 F. 케네디 Jr. 장관은 취임 이후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백신 자문위원회 위원 전원을 교체하고 백신 회의론적 인물 8명을 새롭게 임명했다. 이 중 절반은 백신 관련 학술 논문을 발표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NIH가 수십 건의 백신 주제 연구 지원도 중단한 것으로 보도됐다.

저작권자 © 히트바카라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