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글로벌바카라사이트 신고사, 간담회 진행
이달 중 MFN 정책 구체화 이후 대응 움직임 있을 듯

미국의 최혜국 약가(MFN, Most-Favored-Nation Pricing) 정책이 국내 제약산업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보건당국과 업계가 관련 현안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아직 MFN 정책의 세부 내용이 발표되지 않은 만큼,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정책이 구체화된 후 대응 방안을 수립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 담당자들과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는 MFN 정책 등 미국의 제약바이오산업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5월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시한 약가 인하 행정명령의 후속 조치로, MFN 약가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정책은 미국 내 처방약 가격을 OECD 국가 중 미국 GDP의 60% 이상인 국가들의 약가 최저 수준에 맞추겠다는 것으로, 미국 약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글로벌 바카라사이트 신고사들이 긴장하는 이유는 한국이 MFN 참조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023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GDP가 4만6724달러, 미국의 1인당 GDP가 8만2769달러임을 감안할 때, 미국 GDP의 60%인 4만9661달러 이상 국가들이 MFN 대상국으로 분류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국은 명목 GDP 기준으로는 3만3231달러로 MFN 대상국에서 제외될 수 있으나, 구매력평가(PPP) 기준을 적용할 경우 기준을 충족해 포함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만, 현 단계에서는 미국 정책의 실행 방식과 범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낮아 업계 전반이 관망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간담회 자리에서도 업계 측 모두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는 후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행정명령 이후 30일 이내 후속조치가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조만간 구체적인 발표가 있지 않겠나"라며 "현재로써는 어떤 것도 예단할 수 없어 말을 아끼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정책의 윤곽이 명확하지 않아 실제 영향을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성급한 해석이나 조치는 하지 않고 있다"며 "제도가 확정된 후 글로벌 전략 및 약가 체계와의 연계를 고려한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정책이 발표된 이후에는 필요 시 한국 상황에 맞춘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모이는 모습이다. 만약 한국이 최혜국에 포함될 경우 신약의 도입은 물론 기존 제품의 철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글로벌 제약사 한 임원은 "한국의 낮은 약가가 영향을 미친다면 신약의 접근성이 낮아질 수 있다. 표시가와 실제가를 다르게 적용하는 이중약가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바카라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