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12.6억 상당 불법 의약품 판매한 모자 검거...검찰 송치
무허가 스테로이드, 성장호르몬 등 약 2만6000개 제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스테로이드 등 무허가 의약품을 불법으로 제조·판매한 일가족을 적발해 주범인 아들을 구속하고 공범인 어머니를 함께 검찰에 송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들은 약사법 및 보건범죄특별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다.
식약처는 무허가 스테로이드 판매업자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불법 제조업자의 정보를 확보하고 신속하게 제조 현장을 압수수색했으며 이 과정에서 2000만원 상당의 상품권, 완제품 및 반제품 약 1만6000개, 제조장비와 부자재(바이알, 포장지 등)를 압류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수사 결과 피의자 일가족은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약 2년 4개월간 SNS를 통해 무허가 스테로이드, 성장호르몬, 에페드린 등 총 2만3000여개, 약 12억4000만원 상당의 의약품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스테로이드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함께 복용하는 간기능 개선제 등 국내 허가 전문의약품 약 900개(약 2000만원 상당)도 판매했다.
또한 범행 초기에는 해외직구 사이트를 통해 완제품을 수입해 판매했지만,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작년 4월부터는 직접 의약품을 제조해 판매했다. 주범인 아들은 오피스텔에 제조 장비를 설치하고, 중국과 인도에서 반제품을 수입해 제조를 총괄했다. 어머니는 제조 보조 및 택배 발송 등을 맡았다.
이들은 스테로이드는 소분·라벨링·포장 방식으로, 성장호르몬 등은 라벨링·포장 방식으로 약 2만6000개 불법 의약품을 만들어 유통시켰다.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판매대금을 모바일 상품권, 무인택배함 현금 등으로 받았으며, SNS 대화방에서는 신규 회원 모집을 중단하고 보안을 강조하는 등 치밀하게 범행을 이어갔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식약처는 압수된 스테로이드제제 등은 정상적인 제조 환경에서 생산되지 않아 세균 감염, 면역체계 이상, 성기능 장애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며 사용하지 말고 즉시 폐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앞으로도 무허가 의약품의 제조·유통 행위를 적극 단속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불법 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