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3번째 성공 사례
'신성' 교수팀, 로봇으로 기존 양측 신장 제거와 이식 시행

서울아산병원은 원내 의료진이 다낭성 신증후군으로 신장이 7배나 커진 환자에게 로봇을 이용해 비대해진 신장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공여자의 건강한 신장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다낭성 신증후군 환자에게 로봇 신장이식을 성공한 건 아시아 처음자, 전 세계에서 세 번째라는 것이 병원 측 설명이다.
병원 측에 따르면, 신·췌장이식외과 신성ㆍ김진명 교수팀은 지난 16일 다낭성 신증후군으로 인한 신장 비대로 만성 신부전을 앓던 이가영 씨(여, 24세)에게 로봇 신장이식을 시행했다.
모든 수술은 배꼽 주변으로 낸 1cm 구멍 3개와 신장이 들어갈 수 있는 6cm의 절개창을 통해 이뤄졌으며, 의료진은 조심스럽게 신장 양쪽을 모두 제거한 다음 공여자인 언니로부터 받은 한쪽 신장을 안전하게 이식했다. 이 씨는 최근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보이며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씨가 앓던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증후군'은 신장에 셀 수 없이 많은 낭종이 발생해 신장이 최대 축구공만큼 커지는 유전 질환이다. 1000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며, 대부분 만성 신부전으로 이어진다.
신성 교수는 "다낭성 신증후군 환자에게 로봇 신장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것은 아시아에서 처음이자 전 세계에서도 매우 드물다. 수술을 결정하기 어려운 조건이었지만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수술을 진행했다"며 "다행히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환자도 만성 신부전에서 벗어나 새 삶을 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아산병원의 로봇 신장이식은 개복 수술만큼 우수한 수술 결과를 보인다. 로봇 신장이식의 장점을 활용해 앞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 결과를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다만, 환자에 따라 개복 수술 방식이 더 안전하고 적합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치료 방법을 정확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